시점 정리 1인칭, 3인칭 등 다양한 시점과 특징

이야기를 쓸 때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시점(視點)이에요. 시점이 어떤지에 따라 독자가 느끼는 몰입감과 이야기에 대한 이해도가 달라질 수 있거든요. 여기서 자주 사용되는 시점으로는 1인칭 관찰자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 3인칭 관찰자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이 있어요.

각각의 시점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예시와 함께 살펴볼게요.




1인칭 관찰자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은 화자(이야기를 전하는 사람)가 ‘나’라는 표현을 쓰지만, 주인공이 아닌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관찰하며 전달하는 방식이에요. 화자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바라보며 자신의 시각에서 설명하는 거죠.

  • 예시: “나는 매일 아침 그 친구가 운동장에서 혼자 연습하는 모습을 보았다. 그는 항상 눈을 반짝이며 코트를 누볐다.”
  • 특징: 이 시점에서는 주인공의 생각과 감정을 직접 알기는 어려워요. 대신 화자의 관찰을 통해 상황과 주인공의 모습이 간접적으로 전달되죠. 독자는 주인공을 한 발짝 떨어져서 보게 되며, 화자의 해석에 따라 이야기를 이해하게 돼요.

 

1인칭 주인공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은 화자(주인공)가 자신의 이야기를 직접 들려주는 시점이에요. 여기서 화자는 ‘나’라는 표현을 통해 자기 경험과 감정을 생생하게 전달하죠.

  • 예시: “나는 오늘 처음으로 혼자 발표했다. 내 목소리가 떨리는 게 느껴졌지만, 끝까지 마칠 수 있어서 뿌듯했다.”
  • 특징: 독자는 주인공의 내면에 깊이 몰입할 수 있고, 주인공의 생각과 감정을 아주 가까이서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주인공이 아닌 다른 인물들의 생각이나 감정은 알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요.




3인칭 관찰자 시점

3인칭 관찰자 시점에서는 작가가 주인공을 관찰하며 묘사하지만, 주인공의 내면을 자세히 다루지 않아요. 주인공을 ‘그’ 혹은 ‘그녀’라고 부르며 외부에서 그들의 행동과 말을 전해주는 방식이에요.

  • 예시: “철수는 발표가 끝나자 안도의 한숨을 쉬며 자리로 돌아갔다. 그의 얼굴에는 여전히 긴장감이 남아 있었다.”
  • 특징: 독자는 주인공의 외적인 모습과 행동만 보게 되므로 주인공의 생각이나 감정을 직접적으로 알 수는 없어요. 독자가 주인공의 행동을 보고 간접적으로 그 심리를 추측하는 방식이라, 미스터리나 스릴러 같은 장르에 잘 어울립니다.

 

전지적 작가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은 작가가 모든 인물의 생각과 감정을 알고 있으며, 이를 자유롭게 전달하는 방식이에요. 이 시점에서는 한 인물뿐 아니라 여러 인물의 시각을 넘나들며 그들의 속마음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어요.

  • 예시: “철수는 발표를 앞두고 자신감이 넘쳤지만, 그 모습을 지켜보는 영희는 그의 발표가 조금 걱정됐다.”
  • 특징: 독자는 다양한 인물의 내면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특히 갈등이나 감정의 교차가 중요한 이야기에서 자주 사용되죠. 하지만 너무 많은 인물의 내면을 다루면 오히려 독자가 혼란스러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각 시점의 장단점 요약

  • 1인칭 관찰자 시점: 주인공의 외부 관찰을 통해 독자가 간접적으로 상황을 파악하는 방식이라 이야기의 신비감과 궁금증을 자극할 수 있음.
  • 1인칭 주인공 시점: 주인공의 감정을 깊이 이해할 수 있어 몰입도가 높지만, 다른 인물의 내면은 알기 어려움.
  • 3인칭 관찰자 시점: 주인공을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관찰하며 진행하기 때문에 주인공의 내면보다는 행동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됨.
  • 전지적 작가 시점: 다양한 인물의 내면을 자유롭게 전달할 수 있어 이야기에 깊이를 줄 수 있지만, 잘못하면 독자가 혼란스러워질 수 있음.




각 시점은 그 자체로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야기에 맞는 시점을 고르는 것이 중요해요. 시점의 선택에 따라 독자와 이야기의 거리가 달라지고, 이를 통해 다른 몰입감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x